[경제읽기] 대선 후 부동산·증시 변화는?…증세도 관심<br /><br /><br />제20대 대통령 선거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.<br /><br />대선 이후 증시가 어떻게 흘러갈 것인지에 대해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여야 유력 후보가 모두 1주택자의 종부세 부담 완화를 공약으로 내세운 가운데 부동산 정책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관련 내용,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당분간 증시는 대선 이벤트에 영향을 받을 거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눈에 띄는 것은 이번 대선 여야 주요 후보인 이재명, 윤석열 두 후보 모두 큰 그림에서 디지털·탈탄소·벤처·스타트업 지원을 통한 중소기업 중심 성장에 방점을 두고 있다는 점인데요. 증시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까요?<br /><br /> 여야 후보 간 의견이 갈리는 분야는 에너지, 성장산업, 세제 등입니다. 최종 당선인의 주요 공약들에 따라 업종별로 희비가 갈릴 것으로 보이는데요. 대선 이후 어떤 흐름을 보이게 될까요?<br /><br /> 정부의 부동산 세율 인상과 주택 가격 상승으로 국민 세 부담이 커지고 있는 만큼 부동산 정책 변화도 주목이 되는데요. 이재명, 윤석열 후보 모두 1주택자의 종부세 부담 완화를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는 가운데 세부 내용은 엇갈리고 있죠?<br /><br /> 대선 이후 소상공인에 대한 대규모 손실보상도 예고됐습니다. 막대한 재원이 투입되는 공약을 쏟아내는 만큼 재원 조달방안이 무엇보다 중요한데요. 재원 마련을 위한 후보별 증세의 입장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우크라이나를 침공해 국제사회로부터 경제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가 우리나라를 비롯해 러시아에 대한 제재 참여한 국가들을 비우호국가로 지정했습니다. 외교적 제한 등 각종 제재가 내려질 것으로 예상되는데, 얼마나 타격을 받게 될까요?<br /><br />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경제성장이 둔화할 것이라는 공포가 커지고 있습니다. 역시 글로벌 금융시장이 크게 출렁였는데요. 주요국 증시 상황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미국을 비롯한 서방이 러시아산 원유와 천연가스 수입금지 제재를 도입할 수 있다는 전망이 투자심리를 크게 위축시키고 있습니다. 다만 배럴당 130달러 선을 넘어섰던 국제유가는 상당 부분 진정됐는데요. 유가 오름세는 당분간 불가피하다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